Post

리눅스의 설치 및 유형

리눅스의 설치 및 유형

목차

  • 배포판 다운로드
  • 리눅스 설치 유형
  • 배포판 설치

배포판 다운로드

배포판 다운로드

  • 리눅스 설치 파일은 해당 배포판의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 특수한 목적(임베디드)으로 개발된 리눅스로부터 일반 사용자(컴퓨터 또는 노트북)가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배포판이 존재하며 이에 각 배포판의 설치환경과 설치과정이 다르다. 보통 배포판의 공식 웹사이트에서 ISO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배포판 선택
    • 자신의 용도와 필요에 맞는 배포판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초보자에게는 Ubuntu나 Linux Mint가, 고급 사용자에게는 Arch Linux나 Gentoo가 적합할 수 있다.
  2. 공식 웹사이트 방문
    • 선택한 배포판의 공식 웹사이트를 방문한다. 각 배포판의 웹사이트는 Google 검색 등을 통해 쉽게 찾을 수 있다.
  3. 다운로드 페이지 찾기
    •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 섹션으로 이동한다. 일반적으로 “Download” 또는 “Get” 링크가 있다.
  4. ISO 파일 다운로드
    • 최신 버전의 ISO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일부 배포판은 여러 데스크탑 환경을 제공하므로, 원하는 환경(GNOME, KDE, Xfce 등)을 선택할 수도 있다.
    • 예를 들어, Ubuntu는 ubuntu.com/download에서, Fedora는 getfedora.org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배포판

  • 리눅스에서 작동하는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을 꾸러미(package)로 모아놓은 것을 말한다.
  • 리눅스 커널에 구축된 Unix와 유사한 운영체제 제품군의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배포판은 워드 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 미디어 플레이어 및 데이터베이스 응용 프로그램과 같은 대규모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 모음으로 구성된다.

임베디드(Embedded)

  • 임베디드 시스템은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주로 특정한 제어, 모니터링 또는 임베디드 제품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설계되며, 전통적인 개인용 컴퓨터와는 다른 용도와 형태를 가지고 있다.
  • 예로, ios나 안드로이드 앱을 개발하고 빌드하는데 사용되는 맥미니의 경우, 임베디드 시스템의 한 종류로 간주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이유는 맥미니가 소프트웨어 개발 및 빌드 작업 위해 사용된다는 특정한 기능 수행 때문이고, macOS 운영 체제를 기반으로 하며, 강력한 하드웨어 성능과 다양한 연결 포트 등 내장된 기능으로 개발자들을 효율적으로 앱 개발 작업을 수행토록 한다는 점에서 임베디드의 예라 할 수 있겠다.

리눅스 설치 유형

배포판마다 다르지만 데스크탑, 서버, 사용자 정의 유형 등으로 구분한다.

최소(Minimal)필수 패키지만 설치
데스크탑(Desktop)- 개인용 컴퓨터에 적합한 패키지 설치
- 문서 작성, 멀티미디어, 그래픽 도구 등 설치
서버(Server)- Basic 서버 : 서버 운영 관련 필수 패키지 설치
- Web 서버 : 아파치 서버 관련 패키지 설치
- FTP 서버 : 파일 전송 서버 관련 패키지 설치
- DB 서버 : 데이터베이스 서버 관련 패키지 설치
랩톱(Laptop)노트북 PC 관련 패키지 설치
가상 호스트(Virtual Host)- 가상화 시스템 관련 패키지 설치
- 하이퍼바이저 소프트웨어(KVM, Xen) 설치
Software Development Workstation- 소프트웨어 관리 도구를 포함한 패키지 설치
- 소스 컴파일 도구를 포함한 패키지 설치
사용자 지정(Custom)사용자에게 필요한 패키지를 직접 선택하여 설치

하이퍼바이저(hypervisor)

  • 하이퍼바이저는 하드웨어 리소스를 가상화하여 여러 개의 가상머신(VM)을 호스트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이것은 가상화 기술의 핵심 구성 요소 중 하나로, 하나의 물리 서버에 여러 개의 독립적인 가상환경을 실행할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어, 한 물리 서버가 25 코어 cpu에 50gb의 메모리, 500gb의 디스크를 가진다면, 이를 하이퍼바이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가상 머신으로 나눌 수 있다. 5 코어 cpu, 10gb 메모리, 100gb의 디스크를 가진 가상 서버 5대를 생성하여 호스트 할 수 있는데, 이렇게 생성된 가상 서버는 하이퍼바이저 위에서 실행되며, 각각의 가상 서버에 할당된 cpu 코어, 메모리, 디스크 용량은 하이퍼바이저에 의해 관리된다.

이러한 하이퍼바이저는 두가지 유형으로 나뉘는데, 아래와 같다.

  1. 타입1 혹은 네이티브 하이퍼바이저(Native Hypervisor)
    • 이 유형의 하이퍼바이저는 호스트 시스템의 하드웨어 위에 직접 실행된다.
    • 가상 머신은 하이퍼바이저 위에서 직접 실행된다.
    • 예시 : VMware ESXi, Microsoft Hyper-V, Xen 등
  2. 타입2 혹은 호스트형 하이퍼바이저(Hosted Hypervisor)
    • 이 유형의 하이퍼바이저는 호스트 운영 체제 위에서 실행된다.
    • 호스트 운영 체제는 하드웨어와 상호작용하며 하이퍼바이저는 호스트 운영 체제 위에서 실행된다.
    • 가상 머신은 하이퍼바이저 위에서 실행된다.
    • 예시 : VMware Workstation, Oracle VirtualBox, Parallels Desktop 등

이에 대한 내용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Desktop View (출처 : https://medium.com/teamresellerclub/type-1-and-type-2-hypervisors-what-makes-them-different-6a1755d6ae2c)

배포판 설치

(이 부분은 나중에 다른 카테고리에서 설명하는 것으로 하겠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

© y09255. Some rights reserved.